ⓒ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본격적인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이해 군·관·산업계가 소형 위성 군집 운용 활용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소형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환경이 국내에서는 아직 미흡합니다. 대한항공은 항공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항공 우주사업 전문성을 접목한다면 경쟁력을 갖춘 공중발사체 개발이 가능합니다.” (대한항공 관계자)

대한항공이 서울대와 함께 공군 항공우주전투발전단 우주처가 발주한 ‘국내 대형 민간항공기 활용 공중발사 가능성 분석 연구’ 과제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공동연구를 계기로 대한항공은 운영 중인 보잉 747-400기종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 개발에 나섰다. 구체적으로 ▲기술적 수준 ▲주요 적용기술 ▲연간 운영비용 ▲개조방안 등을 분석하며 향후 상용화까지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한·미 미사일 지침의 벽에 막혀 공중에서 발사하는 발사체 개발에 제동이 걸려왔다. 하지만 지난 5월부터 한·미 미사일 지침이 종료되면서 공중발사체 개발과 운용이 가능하게 됐다.

무엇보다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 개발이 국내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현재 나로우주센터에서 위성을 발사할 경우 일본과 대만 사이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남쪽으로만 가능하다.

하지만 공중발사체를 이용하면 다양한 궤도로 발사할 수 있고 약 12km 상공에서 발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지방 발사체와 달리 기상 조건에 상관없이 발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다.

더욱이 공중발사체는 결도 발사장 건설 및 유지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자체 발사대가 없는 다른 국가에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발사 수출’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민간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를 운용 중이며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버진 오빗社에서 개발한 공중발사체 ‘런처원’이 지난 1월과 6월 잇따라 보잉 747-400기종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발사된 바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지상발사는 지리적 한계로 다양한 위성의 수요를 만족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며 무엇보다 해외 발사체를 이용할 경우에도 계약에서 발사까지 평균 2년 이상 소요되다 보니 소형위성 발사 수요 유치를 위해 기상과 지리적 요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중발사체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