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장서연 기자] "이사가 코앞이라 전세자금 대출을 알아보고 있었는데 제1 금융권 은행에서 막히고, 제2 금융권 추가 대출도 어려워졌다고 해서 너무 막막해 '멘붕'에 빠졌다.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다" (주부 김**씨)

시중 은행들의 대출 중단 조치가 잇따르면서 대출에 발목이 잡힌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의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전세수요자 등 무주택자는 물론 청년층 등 이른바 실수요자까지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서민 수요자들의 이 같은 악재는 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2금융권까지 대출규제가 한 번에 강화된 영향이 크다.

이에 실수요자들은 P2P금융과 대부업으로 내몰리고 있다. P2P나 대부업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정부의 각종 대출규제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이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최근 대출상품 중단에 이어 기존 마이너스통장 연장 시에도 한도를 축소하고 나섰다.

그간 한도만 개설하고 1년간 미사용한 경우에만 한도를 줄여왔는데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침에 기존 대출에 대해서도 10~20% 한도 축소를 적용하기로 했다. 2금융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한편 금융당국은 무차별적 대출 제한으로 실수요자들의 우려와 관련해  최근 농협은행 등의 주담대 등 취급중단 조치는, 당초 목표치를 크게 초과한 농협은행 등이 계획 준수를 위해 취한 조치라고 선을 그었다.

따라서 당초 계획 대비 가계대출 취급여력이 충분한 여타 금융회사들에까지 대출 취급중단이 확산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우리은행을 비롯해 SC제일은행 등 시중 은행의 경우 연간 자체적인 리스크관리 기준을 적용해 일부상품의 공급을 조절하고 통상적인 리스크관리와 한도관리 노력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한 시중 은행 관계자는 "가계부채 리스크관리를 소홀히 했던 일부 은행의 대출취급 중단 조치로 금융소비자 불편이 발생하지 않는지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