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인류 최초 위성 스푸트니크 1호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지난 21일 오후 5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민의 염원을 담은 국내 기술로 설계되고 제작된 국산 1호 우주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붉은 화염을 뿜으며 하늘 높이 날아 올랐습니다.

현재 우주 강국의 위엄을 보이며 세계 최고 우주 기술을 보유한 미국과 유럽, 러시아, 중국, 일본, 그리고 인도에 이어 세계 7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대한민국 자체 기술로 제작된 인공위성 발사체 누리호는 당초 목표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지만 그 성장성을 세계에 보여준 쾌거였습니다.

명실상부 전 세계가 주목한 이번 누리호 발사를 계기로 대한민국은 7대 우주 강국으로 손색이 없는 우주 기술 보유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인류의 우주로 향한 도전은 이번 대한민국 누리호 뿐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류 최초로 우주를 향해 날아오른 인공위성은 무엇이고 언제 처음 만들어졌을까요?

■ 냉전 시대 미국을 충격에 빠뜨린 소련의 인류 최초 위성 ‘스푸트니크’

현재 우주 강국으로 손꼽히고 있는 미국, 하지만 과거 소련(現 러시아)과 냉정 시기의 우주기술은 단순히 우주 탐사라기보다 군사적 목적의 첨예한 경쟁 구도였습니다.

냉전의 양대 축이었던 미국과 소련이 벌인 우주 경쟁은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리면서 기폭제가 됐습니다.

러시아어로 ‘동반자’를 의미하는 스푸트니크 1호의 우주 진출에 미국의 충격파는 엄청났습니다. 경쟁 구도의 균형이 깨지면서 소련으로 기울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인류의 우주 사회를 흔들어 높은 ‘스푸트니크 1호 쇼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미국과 우주 패권을 놓고 첨예한 갈등 양상을 보였던 소련이 전 세계를 흔들어 놓은 스푸트니크 1호는 카자흐스탄 기지에서 발사됐습니다. 지름 58cm, 무게 83.6kg, 4개의 안테나가 달린 소형 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지구 궤도를 진입하는 순간 전 세계가 충격을 받았는데 미국은 말 그대로 쇼크를 받았습니다.

이른바 ‘스푸트니크 충격(Sputnik Shock)’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미국의 자존심을 짓밟은 소련의 전략은 제대로 적중했습니다. 무엇보다 반세기가 지난 현재까지도 수푸트니크의 파장은 현재까지도 미국의 트라우마로 남아있으니 말입니다.

이처럼 미국은 물론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소련의 야심작인 스푸트니크 1호는 96분에 한 번 지구를 돌며 무선 신호를 기지국에 보내왔으며 미국 상공에도 지나갔습니다. 이렇게 미국을 조롱한 스푸트니크 1호는 최초 발사 후 3개월이 지난 1958년 1월 대기권에 재진입하고 소멸됐습니다.

그로부터 한달이 지난 1957년 11월 3일 소련은 무게 0.5톤의 위성 ‘스푸트니크 2호’를 재차 쏘아 올렸습니다. 앞서 세계 최초로 발사된 스푸트니크 1호가 무인 발사체였다면 수프트니크 2호는 ‘라이카’라는 이름의 강아지를 탑재해 세계 최초 생물체를 지구궤도에 진입시켰습니다.

한편 미국의 자존심을 제대로 꺾은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의 궤도 성공은 전 세계 국가들의 우주개발 의지를 앞당기는 촉매제가 됐습니다.

ⓒ데일리포스트=스푸트니크 2호와 탑승 생명체 ‘라이카’ / DB 편집

스푸트니크 1호 성공 이후 미국과 소련은 서로 2000개에 가까운 우주 비행체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지구 궤도에 진입시켰고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1969년 미국은 소련을 향해 보란 듯이 세계 최초로 인류를 달에 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 인공위성이란?

인공위성은 말 그대로 사람이 인공적으로 지구 궤도를 회전하도록 제작한 장치입니다. 로켓을 통해 지구 밖으로 쏘아 올려진 인공위성은 일정 기간 지구 궤도를 돌면서 기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지구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합니다.

인공위성은 목적에 따라 실용위성(통신·기상위성)과 과학위성, 군사위성 등으로 나뉘며 현재 전 세계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TV를 시청할 때 사용되는 통신위성과 고성능 카메라를 통해 지구 표면의 기상 상황을 전해주는 기상위성이 있습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