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 DB 편집

[데일리포스트=송협 선임기자] “글래스고 COP26의 결론은 이미 나온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2030년대까지 석탄화력 발전을 감축하자는 선언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40개 국가가 서명했지만 석탄화력 사용 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 러시아, 인도가 동의하지 않는 이상 실현될 가능성은 희박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기후환경 포럼 이윤선 활동가)

결국 알맹이는 없었다. 기대했던 ‘석탄 폐지’가 아닌 ‘가속화’ ‘감축’에 머문 반쪽짜리 총회였고 나머지 책임은 슬그머니 오는 2022년 이집트 샤름엘셰이크에서 개최하는 COP27로 바통이 넘어갔다.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참가한 200개 국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선진국은 오는 2025년까지 기후변화 적응기금을 두 배로 확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글래스고 기후 조약‘을 채택했다.

총회가 개최되는 지난 1일부터 13일까지 석탄화력 폐지를 놓고 개최 장소인 영국 글래스고 는 물론 전 세계 안팎은 시끌시끌했다. 한국도 포함된 이번 글래스고 COP26 참가국들이 관련 조약을 채택하고 나섰지만 전 세계 석탄 화력의 최대 발원지인 중국과 러시아, 인도 등이 끝내 저항하면서 지구온도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제한은 요원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중국과 인도는 탄소저감장치가 없는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비효율적인 화석연료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적시됐다. 이는 COP 합의문에 ’석탄‘ ’화석연료‘ 언급은 사실상 처음이다.

문제는 합의문에 대해 중국과 인도의 반감이 거세져 당초 적시됐던 석탄발전 ’중단‘이 ’감축으로 수정됐다. 결과적으로 전 세계 석탄 화력 생산력이 지배적인 중국과 인도, 러시아의 거센 몽니 탓에 지구 온도 상승폭 1.5도 제한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탄소배출 대국으로 지목받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최종 합의서 수정 요구에 따라 ‘중단’에서 ‘감축’으로 수정되면서 당초 계획에서 멀어진 것도 답답하지만 한발 더 나아가 호주의 경우 앞으로도 석탄 생산량을 늘려 이를 전 세계에 수출하겠다고 발표해 탄소배출 감소와 지구 온난화 1.5도 실현까지 험로가 예상된다.

한국 기후 와이즈 박현준 연구위원은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해야 한다는데 대다수 참가국은 의식을 같이 하고 있지만 석탄화력을 자국의 막대한 수익으로 생각하는 중국과 인도, 러시아, 그리고 호주가 현재 생각을 바꾸지 않는 이상 약속과 신념을 행동이 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조약에 참여하는 부자 국가들이 연 1000억 달러(한화 118조 원) 기후기금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한 부담감도 고민해야 할 과제다. 이번 COP26에서 참가국들은 해당 기후기금 약속을 지키지 않는 점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오는 2025년까지 금액을 높일 것을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미국을 비롯해 참여국 대다수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재정 악화다. 전 세계 펜데믹 상황에서 주력 산업 수출이 급감하는 것은 물론 국가 재난 지원금 등 국가 예산이 막대하게 소진되면서 118조 원에 달하는 기후기금 약속이 제대로 이행될 수 있냐는 것이다.

한편 미온적인 협약이 체결된 이번 COP26을 지켜본 환경운동 단체들은 “실천할 수 없는 말 뿐인 합의” 그리고 ‘또 다른 기후 재앙“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스웨덴 출신의 10대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COP26을 겨냥해 ”진짜 할 일은 이제 회의장 밖에서 계속되며 우리는 절대,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다.“고 한 줄 평을 남겼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