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영화 '싱크홀' 이미지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영화 '싱크홀' 이미지

ㅣ데일리포스트=곽민구 기자ㅣ 우리가 사는 도시가 발전하면 할수록 생겨나는 불안이 있다.

매일 도심에는 새로운 건물을 짓기 위해, 지하철을 연장 개통하기 위한 공사가 계속된다. 이로인해 도시는 점차 발전하지만 그와 비례해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바로 ‘싱크홀’이다.

특히 집에 대해 그 어느나라보다 진심인 대한민국에서 싱크홀은 말 그대로 재난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을 잘 짚어낸 영화가 있다. 지난해 개봉한 차승원, 김성균, 이광수 주연의 ‘싱크홀’이다.

이 작품은 도심 싱크홀 현상을 국내 최초로 영화화했다. 줄거리도 간단하다. 11년 만에 마련한 내 집이 지하 500m 초대형 싱크홀로 추락하며 벌어지는 재난 버스터다.

서울에 내 집 한 채 마련하기 위해 열심히 살아온 직장인인 주인공 동원(김성균 분)은 11년 만에 내 집 마련에 성공한다. 행복함도 잠시 이사 첫날부터 이웃 만수(차승원 분)과의 충돌, 집의 수평이 맞지 않는 현상들로 불안감이 싹트지만 이를 애써 무시하려 한다.

사건은 내집 마련 후 가진 집들이 다음날 일어난다. 싱크홀로 인해 빌라 전체가 지하 500미터 땅 속으로 가라앉고 만 것. 영화는 만수와 동원, 그리고 집들이에 왔다가 하루를 묵게 된 김 대리(이광수)와 인턴 은주(김혜준)가 생존을 위해 애쓰는 모습을 웃음과 감동, 그리고 슬픔으로 그려낸다.

엔딩은 대부분의 재난영화가 그러하듯 생존와 희생으로 나뉜다. 그리고 희생자 대부분이 사회적 약자라는 부분은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씁쓸함을 더한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영화 '싱크홀' 포스터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영화 '싱크홀' 포스터

연출을 맡은 김지훈 감독은 영화 ‘싱크홀’을 기획하며 “우리가 평범한 일상 속에서 길을 가거나 밥을 먹다가 땅속으로 꺼질 수 있는 싱크홀 현상이 1년에 900건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상당히 놀라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렇듯 싱크홀은 이제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닌 우리에게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현실적인 재난으로 느껴져 더큰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싱크홀’은 원래는 자연적인 현상의 하나로 땅 안쪽에 침식이 생겨 위쪽 무게를 견디지 못해 가라앉아 생긴 구덩이를 말한다. 하지만 도심 내 싱크홀은 자연적이라 말하기는 어렵다. 전문가들은 약해진 지반과 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싱크홀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싱크홀 발생의 주요 원인은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누수, 대규모 공사 후 다짐 불량, 굴착공사 부실 등으로 알려졌는데, 최근에는 집중호우가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말에는 서울 종로구의 한 고등학교 통학로에 집중호우로 인한 지반 침하 등으로 싱크홀이 생겨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불안을 키웠으며, 1일 경기 성남시 산성대로 단대오거리의 도로에 깊이 1m, 넓이 15㎡ 크기의 싱크홀이 발생해 도로를 지나던 트럭의 뒷바퀴 부분이 빠지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그 외에도 집중호우로 인한 싱크홀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교육청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교육청

2020년 8월에는 지하철 8호선 연장인 별내선 공사 현장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해 함몰돼 왕복 4차로 중 2차로에서 약 20m 깊이의 대형 싱크홀이 생겨 통행이 금지되기도 했다. 다행히 현재는 대규모 공사의 경우 지하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빈 공간을 미리 메우기 때문에 영화에서처럼 갑작스러운 싱크홀이 발생할 확률은 높지 않다.

하지만 싱크홀 현상 자체는 계속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스페인 지질·광업연구소(IGME) 등 국제연구진은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 미래에는 가뭄이 증가해 지반침하가 더 자주 일어나 인류 문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기존 문헌을 검토해 지하수 고갈로 인해 전 세계 34개국에서 서로 다른 지역 200곳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세계 인구의 약 5분의 1이 20년 안에 지반침하 사고로 인해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그중 대다수가 아시아 지역일 것임을 알렸다.

‘싱크홀’을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 보통 싱크홀은 지표면 아래에서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년 동안 조용히 진행되다가 발생하기 때문에 탐사 기술이 아니면 발생의 전조를 알아채기 쉽지 않다. 울타리와 나무들, 건물이 기울어지거나 땅위의 구조물에 금이 가는 현상들이 있다면 싱크홀의 초기 신호로 보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