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SK텔레콤-LG유플러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SK텔레콤-LG유플러스

ㅣ데일리포스트=곽민구 기자ㅣ정부가 디지털 기술 융합을 통해 자연재해로부터 국민 안전 도모에 나선다.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가 진행됐다. 이날 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는 합동으로 수립한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디지털 기술 혁신의 가속화로 직접 관리가 어려운 위험지역 감시, 위기예측 및 초기대응, 위험관리 원격화 등 혁신적 안전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이 됐음에도 아직까지 국내 안전분야 디지털화는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관계부처는 최근 집중호우 피해의 심각성을 인지, 재난안전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 위기관리 시스템의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과기정통부와 환경부는 디지털 트윈 (가상세계를 구현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모의시험하는 기술)을 통해 하천범람, 도시침수 등의 홍수 피해를 예측하고, 인공지능이 방류・대피 등 의사결정을 신속히 지원하는 체계적 대비체계를 5대강을 시작으로 전국에 구축할 방침이다.

또 전국 하천에 물 저장・방류 등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하천 범람 사전대응・조기경보체계’를 고도화하며, 기습적 폭우에도 도시 침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도시침수 사전 예측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건물 내 침수보호를 위한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반 차수장치 등도 실증할 예정이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홍수 외에도 바람이 세고 건조한 시기에 자주 발생하는 산불 피해를 막기 위한 기술 접목도 진행된다. 과기정통부는 산불 관련 데이터 개방을 통해 초기 단계 산불을 감지하는 영상 인공지능을 개발·실증해 ‘산불감시 지능형 상시모니터링 체계’도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사고가 발생하면 재난급 피해를 입게되는 국가 중요 기반시설에 대해서도 기술 활용을 통해 안정성을 높일 계획이다.

발전소 등 중요시설에서는 인공지능(AI) 관리체계를 구현해 순찰드론・로봇 등으로 연기입자, 이상행동을 사전 탐지해 화재, 테러 등을 예방할 예정이며, 철도, 지하공동구 등에서도 센서, 인공지능을 통해 사고 위험을 선제관리한다.

재난 안전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소프트웨어·통신 오류와 해킹으로 인한 문제 발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요성이 높은 기반시설 소프트웨어를 사전점검하고, 통신 통제체계 및 통신사 상호백업 등의 방안도 추진 준비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은 “디지털 안전 선도 모델이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해 국민안전을 제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기술의 안전분야 융합과 활용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사회로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다각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