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Flickr

ㅣ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ㅣ겨울이 되면 평소보다 늦잠을 자거나 침대에서 늦장을 부리는 일이 늘어난다. 본인이 게으른 탓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겠지만, 실제로 '사람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 많은 수면시간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뉴로사이언스(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에 게재됐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많은 동물들은 계절에 따라 행동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일부 포유류는 겨울이 되면 동면에 든다. 반면 사람은 계절에 따른 행동 변화가 비교적 적고, 사회 활동도 겨울과 여름이 거의 차이가 없다. 

독일 베를린의 세인트 헤드윅병원의 디터 쿤츠(Dieter Kunz) 박사 연구팀은 "인류 진화의 가장 귀중한 성과 중 하나는 행동 수준에서 계절성을 거의 볼 수 없다는 것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수면의학회가 2020년 실시한 조사에서는 미국 성인의 34%가 '겨울이 되면 수면시간이 길어진다'고 응답했으며 36%가 '여름이 되면 수면시간이 짧아진다'고 답해 수면이 계절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시사된 바 있다. 

인간의 수면과 각성 사이클은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하는 '생체리듬(circadian rhythms)'에 의해 제어되는데, 빛을 받는 양이 적어지면 평소보다 빠른 시간에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방출돼 수면과 각성 사이클이 흐트러지게 된다. 그러나 생체리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자연광뿐만 아니라 실내조명 등도 흐트러뜨릴 수 있어 계절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모호하다. 

이에 쿤츠 박사 연구팀은 도시 환경에 사는 사람들에게 수면의 계절성을 볼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인트 헤드윅병원에서 3박에 걸친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란 환자가 잠들어 있을 때 뇌파 및 호흡, 안구운동,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해 수면의 길이와 질을 확인하는 검사다. 성 헤드윅 병원에서는 참여자가 자연스럽게 수면할 수 있는 실험실을 이용해 수면장애 환자에 대해 정기적으로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연구팀은 2019년 세인트 헤드윅 병원에서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를 받은 292명의 환자 가운데 수면 관련 약을 복용하거나 렘수면(얕은 잠) 시간이 120분 이상인 환자를 제외하고 188명의 데이터를 추출했다. 

환자는 남성이 90명, 여성이 98명으로 모두 자연광 노출이 적은 편이며, 인공조명이 밝은 베를린 도시 지역에 거주했다. 수면장애 진단에는 계절성 패턴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말 즈음에 불면증 진단이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래 그래프는 가로축이 데이터 수집 시기(2019년 1월~12월)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실험 참여자의 총수면시간(TST)·렘수면시간(REM)·논렘수면시간(SWS)을 나타낸 것이다.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총 수면시간을 보면 5월~6월경은 겨울에 비해 최대 60분 정도 적어졌다. 또 겨울에는 여름보다 렘수면시간이 평균 30분 더 길어지고 가을이 되면 기억이나 면역기능에 중요한 논렘수면시간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쿤츠 박사는 "계절에 따른 총 수면시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렘 수면시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계절에 따라 수면 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번 연구결과는 어디까지나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소규모 집단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향후 대규모 집단에서 실험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